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투자

수익성 지표 (PER / EPS / PBR / ROE / ROA)

by dmgcntrl 2021. 1. 5.

PER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 이라고 한다.

보통 '퍼' 라고 부르며, 기업의 가치 평가 방법으로 쓰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이다.

주당 순이익 대비 현재의 주가를 측정하여 회사의 가치를 평가한다.

보편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 높을수록 고평가 되었다고 본다.

 

 

 

EPS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누어 구하는 값이다.

1주당 순이익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ER은 시가총액에서 순이익을 나누거나 현재의 주가에 주당 순이익을 나누어 계산한다.

 

 

 

PER을 통해 알 수 있는것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주식 가치 평가 지표로,

해당 기업이 산업 군 내에서 비교하거나, 벤치마크 대비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평가할 수 있는 투자 판단의 근거를 얻을 수 있다.

혹은 과거 PER과 비교하며 현재의 주가가 실적에 비해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판단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PER은 주가에서 주당 순이익을 나눠준 값이므로, PER이 10이라는 것은 주가가 주당순이익인 EPS보다 10배 높다는 말.

주가가 고평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

 

 

 

-> 수익보다 주가가 과도하게 높다

or 시장에서 많은 이들이 주목하는 기업이다.(성장성이 높은 기업이라 너도나도 사기를 원한다.)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or 주가대장부가치비율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회사의 주당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얼마에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어떤 주식의 PBR이 1보다 크면 고평가 (매도 유인이 존재)

어떤 주식의 PBR이 1보다 작으면 저평가 (투자 유인이 존재)

 

 

 

ROE

자기자본수익률

자신의 자본으로 얼만큼의 이익을 냈는가

자신의 자본이 1억이고, 내가 올 한해 1억을 투자해 1천만원의 수익을 냈다면,

ROE는 총 10%이다.

ROE가 높을수록 돈을 잘 굴린다는 소리.

 

 

 

ROA

총자산 이익률

자신의 자본 + 부채까지 이용해서 얼만큼 이익을 냈는가

내 자본이 1억, 대출1억 으로 수익1천만원을 낸다면

ROA 값은 5%

이때 ROE값은 10%

따라서 높은 ROE를 지속적으로 내는 기업일수록,

돈을 잘 불릴 수 있다는 지표가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