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금저축과 IRP는 모두 내가 경제활동을 할 수 있을 때 미리 노후를 준비하는 전용 계좌입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금융사들의 연금상품이 있지만, 우리가 증권사에서 선택할 수 있는것은
[연금저축]과 [IRP] 이 두가지입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90%정도가 비슷한 계좌입니다.
둘다 나의 노후를 시장에 넣어 투자를하고,
손실리스크를 감수하면서 장기간 더 크게 불리겠다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투자처를 직접 고를 수 있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도 같습니다.
그리고, 연금저축과 IRP는 세액공제 한도를 공유합니다.
연금저축과 IRP를 합쳐서 1800만원 까지만 납입이 가능하고,
연금저축은 연말정산 시 최대 400만원 13.2%~16.5% 세액공제
IRP는 연말정산 시 최대 700만원 13.2%~16.5% 세액공제
즉, 연금저축과 IRP계좌 합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는 700만원의 13.2%~16.5%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사람들이 연금저축에 400만원, IRP 계좌에 나머지 300만원을 넣곤 합니다.
*단 여기서 최대 700만원의 13.2%~16.5%인 92.4만원~115.5만원은
연말정산 시 공제되는 금액이지 그냥 돈을 준다는 뜻이 아닙니다.
(많은 유튜버나 블로거들이 연금저축은 무조건 최대한 하는게 이득이다,
돈을 돌려받으니 1년에 100만원씩 공짜로 얻는것과 같다는 말을 듣고
오해하시는 일 없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차이점을 알아볼까요?
1.연금저축 (자본시장법)
노후자금을 펀드에 투자하면서 모을 수 있는 증권사의 대표적인 연금대비용 계좌입니다.
연금이라는 이름이 붙은 많은 상품중에서 반드시 [연금저축] 이라는 네 글자가 들어있어야합니다.
(연금보험이나 변액연금은 연금저축 계좌가 아닙니다!!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개인연금저축, 연금저축계좌 처럼
[연금저축]이라는 글자가 들어가있어야 합니다.)
1)연금저축은 누구나 만들 수 있습니다.
(갓 태어난 아기의 계좌를 개설해서, 부모님이 자녀의 연금저축을 미리 준비할 수 있습니다.)
2)연말정산 시 최대 400만원 한도로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3)연금저축 계좌에 돈을 넣고 [현금 / 연금펀드 / ETF] 세가지 형태로 저축할 수 있습니다.
4)위험자산(주식형자산) 최대 100%
5)계좌해지를 하지 않고 출금이 가능합니다.
(세액공제를 받지않았다면 바로 출금 /
받았다면 16.5%기타소득세 떼고 출금 /
불어난 수익금도 16.5% 기타소득세 떼고 출금)
즉, 자신의 나이와 상관없이 계좌해지 없이 출금가능
6)담보대출이 가능합니다.
2.IRP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로, 개인형 퇴직연금 이라고 합니다.
퇴직연금 삼총사라고 할 수 있는 DB / DC / IRP 중 하나인데요
1)IRP는 소득이 있는 사람만 만들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자, 사업소득자, 프리랜서)
(개설 후 소득이 없어지더라도 IRP 계좌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2)연말정산 시 최대 700만원 한도로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3)IRP 계좌에 돈을 넣고 [예금 / RP / ELB / 국고채 / 회사채 / 펀드 / ETF / ELS / 리츠]의 형태로 저축할 수 있습니다.
(현금상태로 둘 수 없고, 반드시 위 상품중 하나를 매수해야 합니다.)
4)위험자산(주식형자산) 최대 70%
5)계좌를 해지하지 않는 한 출금가능한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습니다.
-무주택자의 주택구입
-무주택자의 전월세 보증금
-근로자 및 부양가족의 6개월 이상 요양
-근로자의 파산선고
-근로자의 개인회생
-천재지변
(매우 빡쌘 조건입니다...)
6)담보대출이 불가능합니다.
'정보글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플레이 주소 바로가기 (0) | 2021.10.12 |
---|---|
버스 하차시 교통카드(기후동행카드) 태그 꼭 해야할까? (feat.요금폭탄방지) (0) | 2021.02.12 |
대기업 & 공공기관/공기업 평균 연봉 순위 총 정리 (0) | 2021.01.20 |
광역알뜰 교통카드 신청하는 법! (0) | 2021.01.09 |
국내주식 / 해외주식 세금 총정리! (0) | 2021.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