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투자

미국 상위 50대 기업 vs S&P500 수익률

by dmgcntrl 2022. 4. 1.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애플, 테슬라 같은 거대 기업들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거나, 꼭 사고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계실겁니다. 최근 엄청난 수익률을 보고 있자면, 그전에 투자했어야 했는데, 지금이라도 보유하면 전과 같은 수익률을 낼 수 있겠지? 하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미국 상위 50개의 기업은 

S&P500의 수익률에 미치지 못합니다.

 

 

1.구조적인 문제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성장률의 분산은 줄어듭니다.

 

매출액 1억달러 이상인 미국 상장사들을

표본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성장률의 중간값은 매우 안정적이지만

성장률의 분산은 의미있게 좁혀지고 있습니다.

매출성장률-분산
매출성장률-분산

 

이는 당연한 결과인 것이,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대기업이

GDP 성장률을 월등히 능가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포춘 50대 기업은 GDP의 35%를 차지합니다

한때 엄청난 성장을 실현했던 50대 기업이

계속 성장하기를 기대하지만 

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업전략위원회가 실시한 심층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대기업은 성장률이 종종 정체된다]

 

일단 기업이 충분한 수준의 매출 규모에 도달하면

성장률이 정체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정체가 나타나는 매출 규모는

시간이 흐를수록 상승하는데,

1990년대 후반 기준

200~300억 달러 수준이었습니다.

 

다음은 매출액 기준 포춘 50대 기업에 진입한

기업들의 성장률 추이입니다.

포춘50대기업-연평균성장률
포춘50대기업-연평균성장률

많은 기업들이 인수합병을 통해

50대 기업에 진입하기 때문에

진입 첫 해의 성장률이 높게 나타나고

그 이후의 성장률이 정체됩니다.

 

 

어떤 산업이든 초창기에는 빠르게 성장하면서

신규 기업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다음 단계에서 많은 기업들이 퇴출되지만

살아남은 기업들은 높은 경제적 이익을 얻습니다.

 

이후 산업의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고

성숙단계로 접어들면 기업들은 성장을 멈추고

경제적 이익은 균형상태로 가까워집니다.

 

모든 기업이 언제까지나 빠르게 성장할 수 없고

대기업은 거의 성숙단계의 기업입니다.

 

 

 

 

2. 시장의 불확실성 문제

 

애플이랑 테슬라 같은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 

상위 50개 기업 평균과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한 비교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GE(제너럴일렉트릭)이

다우지수에서 퇴출되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수십, 수백년의 전통과 기술을 자랑하는

어떤 기업들이라도 시장의 변화에 따라

사라지고 다시 생겨나기 마련입니다.

 

앞으로 반도체, 전기차 시장 등이

굉장히 유망하고 그 시장을 꽉잡고 있는

기업들에게도 어떠한 변수가 생길지 모릅니다.

 

테슬라가 향후 전기차 시장의 대장이 될

확률이 높은 것 뿐이지, 확정이 된 것은 아닙니다.

전기차 시장이 앞으로 유망하다 예측하는 것이지

앞으로 전기차보다 앞도적인 것이 

개발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