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글/생활정보

60세 이상 정부 지원 건강 복지 제도를 알아봅시다

by dmgcntrl 2022. 10. 26.

60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한 복지 예산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중 고령자의 건강과 관련된 예산도 해마다 편성량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60세 이상 고령자들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여러 가지 건강 복지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고령자 정부 지원 제도는 총 7가지로

> 무료접종 서비스

> 시각장애인 안마바우처

>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 틀니, 임플란트 지원사업

> 치매 검진 지원

> 노인 안 검진 및 개안수술 지원

>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입니다.

 

 

1. 무료접종 서비스

현재 진행 중인 독감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 접종을 비롯해서

폐렴구균, 대상포진 등 국가 예방접종이 있습니다.

 

올해 기준 5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이신 분들은

인플루엔자 백신 연 1회

폐렴구균 13가 백신 1회 접종 (재접종 필요 X)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65세 이전 접종 or 접종 5년 이후면 재접종 권고)

 

인플루엔자 백신은 올해 12월 31일까지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로 맞을 수 있고,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연중 보건소에서

무료로 맞으실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백신과 폐렴구균 백신은

동시에 접종이 가능하고,

 

대상포진도 50세 이상이라면 접종이 가능하지만

하지만 권장 연령은 60세 이상이라고 합니다.

 

백신 접종 후 5년 정도까지 효과가 최대로 지속되고

이후부터 그 효과가 줄어들고, 노년층에게 발생할 확률이

젊을 때보다 8배나 높기 때문입니다.

 

단 지역별로 무료 접종 기준에 차이가 있어서

65세 이상 모두 무료인 경우도 있지만

50세부터 지원하는 경우,

기초생활수급자만 해당되는 경우 등이 있으니

해당 지역 보건소에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시각장애인 안마바우처

이는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일종으로,

정부에서 비용의 90%를 지원,

본인부담금은 10%만 내고

안마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안마를 받으며 피로 해소, 건강증진의 효과도 누릴 뿐만 아니라

정부의 세금으로 시각장애인 분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인증을 받은 안마 센터에서 

최소 2년 이상 안마 수련기관의 

의료적 전문 교육을 수료하고

안마사 자격증을 취득한

전문 안마사들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총 10개월간 한 달에 4회 주 1회 60분 동안 진행되며,

회당 4만 원씩 한 달에 16만 원인데

정부에서 비용의 90%인 14만 4천 원을 지원하고

본인 부담금은 1만 6천 원만 내면 됩니다.

 

신청 대상은 만 60세 이상이면서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또는

기초연금 수급자이기 때문에 

65세 이상이신 분들의 70%가 소득 기준에 충족되고

 

근골격계, 신경계, 순환계 질환이 있는 분들이어야 하는데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지병이 아니더라도

근육통, 신경통 같은 가벼운 증상만 있어도

가능하기 때문에 대상자 기준이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지원은 예산 소진 시 종료되며

대부분 1~2월에 주민센터에서 신청을 받고

예산이 빠르게 소진되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셨다가 연초에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심뇌혈관 질환이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이면서

질병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거주하는 지역의 보건소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센터에 등록을 하면

병원 진료일 알림 서비스나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 및 관리해주고

 

특히 65세 이상이신 분들은 

진료비 1,500원과 약제비 2,000원,

고혈압 당뇨병 모두 진료받는 경우는

약제비 4천 원을 지원해줍니다.

 

아직까지 전국 모든 지역에서 진행 중인 사업은 아니며

현재 진행 중인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울(성동구) / 광주(광산구) / 울산(중구) / 세종(세종시)

경기(광명시, 남양주시, 안산시, 부천시, 하남시)

강원(동해시, 홍천군) / 전북(진안군) 

전남(목포시, 여수시, 장성군) / 경북(경주시, 포항시)

경남(사천시) / 제주(제주시)

 

또한 병원과 약국들 중에서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병의원'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약국'

스티커가 붙어있는 의료기관과 약국에서

등록관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건소에 등록하실 때 미리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주소지 관할 보건소나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질병관리청 만성질환 예방과 (043-719-7441)

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4. 틀니, 임플란트 지원사업

지원대상

1) 완전 틀니

만 65세 이상으로 윗잇몸이나 아랫잇몸에

치아가 하나도 없는 어르신

 

2) 부분 틀니

만 65세 이상으로 남은 치아를 이용해

부분 틀니 제작이 가능한 어르신

 

지원 내용

완전틀니, 부분틀니 시술 시 

소득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차상위 계층 의료급여 1종 의료급여 2종
30% 5~15% 5% 15%

틀니의 경우 7년에 1회 제공되며

7년 내에 본인 부주의로 새로운 틀니 제작 시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임플란트는 일부 치아가 빠진 경우 지원이 되며

치아가 완전히 없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또한 부분틀니 지원을 받았더라도

최대 2개의 임플란트 지원이 가능합니다.

 

 

임플란트의 자부담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건강보험 차상위 계층 의료급여 1종 의료급여 2종
30% 10~20% 10% 20%

 

신청 방법

1) 일반 건강보험 대상자

치과 병, 의원 또는 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대상자 등록 신청

 

2) 의료급여 수급자

치과 병, 의원 및 시군구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에 대상자 등록 신청

 

5. 치매 검진 지원

지원 대상

1) 선별 검사

만 60세 이상 어르신

 

2) 진단, 감별검사

만 60세 이상으로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20%

(4인 기준 월 614만 5,000원) 이하인 어르신

 

지원 내용

> 전국 보건소에서 치매 선별검사

   및 진단검사 무료 실시

 

 

> 선별검사 결과 정밀검사 필요시 

   600여 개소 협약병원에서 추가 진단

> 감별검사 실시 및 검사비 일부 지원

검사 종류 검사 내용 지원 내용
선별 검사 치매 선별을 위한
간단한 인지선별검사
(CIST)
보건소에서 
무료검사 실시
진단 검사 전문의 진찰, 치매 척도 검사
치매 신경인지 검사
일상생활 척도검사 등
협약병원에서 실시한 검사비
(15만원 한도 내) 지원
감별 검사 혈액검사,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뇌영상촬영 등
협약병원에서 실시한 검사비 지원
>병, 의원, 종합병원급 : 8만원
>상급종합병원 : 11만원 한도 내

 

또한 치매 치료제를 복용 중인

만 60세 이상 치매환자 중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에 해당된다면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약제비와 진료비의 본인부담금을

월 3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치매 관련 지원 신청은

보건소에 설치되어 있는

치매 안심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6. 노인 안 검진 및 개안수술 지원

[1] 노인 안 검진

지원 대상

만 60세 이상 어르신 (저소득층 우선)

 

지원 내용

1) 1차 진단

정밀 안저검사 1종

 

 

2) 2차 진단

정밀 안저검사, 안압검사, 굴절검사 및 조절검사

(안경 처방전 교부 포함), 각막 곡률검사 등 4종

 

[2] 개안수술

지원 대상

만 60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한부모가족 어르신

 

지원 내용

백내장, 망막질환 등 안질환자의

개안 수술비용 본인부담금 전액 지금

*백내장 등 안질환 평균 야 24만 원

망막질환 평균 약 105만 원

 

7.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지원 대상

만 60세 이상 기초, 차상위계층

또는 한부모가족 해당자 중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무릎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사람

 

지원 내용

한쪽 무릎 기준으로 120만 원 지원

 

지역 보건소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노인 의료 나눔 재단 홈페이지에서

더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